혼인건수는 하락 후 보합세, 이혼건수는 완만한 감소세, 출생아수는 추락세, 사망자수는 상승세

Date

(그래픽·데이터 뉴스) 2011년 이후 가파르게 하락하던 ‘혼인건수’는 이후 최근 2년간 횡보를, 그리고 ‘이혼건수’는 2004년 이후 완만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2022년 대비 1,967건이 증가한 19만3657건으로 잠정 집계됐다(아래 표 1 참고).

이것만 보면 혼인건수가 앞으로 반등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는 5년 전인 2019년 23만9159건과 비교할 경우 정확하게 45,502건이나 감소한 수치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혼인건수는 1996년 43만4911건을 정점으로 다소 가파른 하락세를 유지 중이다(아래 표 4, 그래프 2 참고).

그래서 이런 트렌드를 흔들 수 있는 외생변수(外生變數, Extraneous Variable)가 등장하지 않는 한 앞으로도 20만 건대를 돌파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혼인건수를 ‘인구 천명당’으로 환산한 ‘조(粗)혼인율’도 이와 유사한 추세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조혼인율’은 2022년 대비 0.1건 증가했으나, 5년 전인 2019년 대비로는 0.9건이나 감소했다(표 1 참고).

 

표 1. 지난 5년간 혼인 및 조혼인율 추이(단위: 건)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P    
전년 대비 2019 대비
혼인건수 239,159 213,502 192,507 191,690 193,657 +1,967 -45,502
조혼인율 4.7 4.2 3.8 3.7 3.8 +0.1 -0.9

데이터: 통계청
주: 1) 2023년은 잠정치(P = Preliminary)
     2) 데이터 정리 과정에 Human error가 포함됐을 수 있음

 

이번 혼인 통계에서 특이할 만한 점은, 내국인의, ‘외국인과의 혼인건수’가 코로나19 이전 상황으로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전체 혼인건수’ 중 ‘외국인과의 혼인건수’의 점유율은 10.2%나 됐다.

이는 2011년 이후 최고치다.

 

그래프 1. 외국인과의 혼인건수 및 점유율 추이(단위: 건, %)

외국인과의 혼인건수

데이터: 통계청
주: 1) 2023년은 잠정치(P = Preliminary)
     2) 데이터 정리 과정에 Human error가 포함됐을 수 있음

 

지난해 내국인 남녀의 ‘외국인과의 혼인건수’는 각각 1만4710건, 5007건이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2703건(+22.5%), 348건(+7.5%) 증가한 수치다.

 

표 2. 내국인 남녀의 ‘외국인과의 혼인건수’ 추이(단위: 명,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P    
전년 대비 2019 대비
외국인과의 혼인건수(a) 23,643 15,341 13,102 16,666 19,717 +3,051 -3,926
 한국男+
 외국女(b)
17,687 11,100 8,985 12,007 14,710 +2,703
(+22.5%)
-2,977
 b/a%  74.8% 72.4% 68.6% 72.0% 74.6% +2.6%p -0.2%p
 한국女+
 외국男(c)
5,956 4,241 4,117 4,659 5,007 +348
(+7.5%)
-949
  c/a% 25.2% 27.6% 31.4% 28.0% 25.4% -2.6%p +0.2%p

데이터: 통계청
주: 1) 2023년은 잠정치(P = Preliminary)
     2) 데이터 정리 과정에 Human error가 포함됐을 수 있음

 

한편, 지난해 이혼건수는 2022년 대비 838건이 감소한 9만2394건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5년 전인 2019년 11만831건과 비교할 경우 18,437건이나 감소한 수치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혼건수는 2003년 16만6617건을 정점으로 꾸준하게 감소하고 있다(표 4, 그래프 2 참고).

그리고 이를 ‘인구 천명당’으로 환산한 ‘조(粗)이혼율’도 이와 유사한 추세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조이혼율’은 1.8건으로 2022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집계됐으나, 2019년 대비로는 0.4건이나 감소했다. 

 

표 3. 지난 5년간 이혼건수 및 조이혼율 추이(단위: 건)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P    
전년 대비 2019 대비
이혼건수 110,831 106,500 101,673 93,232 92,394 -838 -18,437
조이혼율 2.2 2.1 2.0 1.8 1.8 0.0 -0.4

데이터: 통계청
주: 1) 2023년은 잠정치(P = Preliminary)
     2) 데이터 정리 과정에 Human error가 포함됐을 수 있음

 

이하 ‘혼인건수’와 ‘이혼건수’에 ‘출생아수’와 ‘사망자수’를 추가한 그래프를 붙여 드린다.

참고로, 2017년은 조사(弔事)수가 혼사(婚事)수를, 2020년은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넘어선 해다.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쇠퇴하고 있는 중이다. 

 

그래프 2. 1970-2023P 혼인건수·이혼건수·출생아수·사망자수 추이(단위: 명, 건)

혼인 이혼 출생 사망

데이터: 통계청
주: 1) 2023년은 잠정치(P = Preliminary)
     2) 2022년 급증했던 사망률이 2023년 정상 궤도(추세)로 복귀한 것으로 추정 
     3) 데이터 정리 과정에 Human error가 포함됐을 수 있음

 

그래프 3. 1970-2023P 조혼인율·조이혼율·조출생률·조사망률 추이(단위: 명, 건)

조혼인 조이혼 조출생 조사망

데이터: 통계청
주: 1) 2023년은 잠정치(P = Preliminary)
     2) 2022년 급증했던 사망률이 2023년 정상 궤도(추세)로 복귀한 것으로 추정 
     3) 데이터 정리 과정에 Human error가 포함됐을 수 있음

 

표 4. 1970-2023P 혼인·조혼인율, 이혼·조이혼율, 출생·조출생률, 사망·조사망률 추이(단위: 건, 명)

연도 혼인건수
(명)
조혼인율
(천명당)
이혼건수
(명)
조이혼율
(천명당)
출생아수
(명)
조출생률
(천명당)
사망자수
(명)
조사망률
(천명당)
1970 295,137 9.2 11,615 0.4 1,006,645 31.2 258,589 8.0
1971 239,457 7.3 11,361 0.3 1,024,773 31.2 237,528 7.2
1972 244,780 7.3 12,188 0.4 952,780 28.4 210,071 6.3
1973 259,112 7.6 12,719 0.4 965,521 28.3 267,460 7.8
1974 259,604 7.5 14,073 0.4 922,823 26.6 248,807 7.2
1975 283,226 8.0 16,453 0.5 874,030 24.8 270,657 7.7
1976 285,910 8.0 17,178 0.5 796,331 22.2 266,857 7.4
1977 303,156 8.3 20,280 0.6 825,339 22.7 249,254 6.8
1978 343,013 9.3 19,734 0.5 750,728 20.3 252,298 6.8
1979 353,824 9.4 17,178 0.5 862,669 23.0 239,986 6.4
1980 403,031 10.6 23,662 0.6 862,835 22.6 277,284 7.3
1981 406,795 10.5 24,278 0.6 867,409 22.4 237,481 6.1
1982 387,468 9.9 26,124 0.7 848,312 21.6 245,767 6.2
1983 412,984 10.3 28,549 0.7 769,155 19.3 254,563 6.4
1984 385,188 9.5 35,772 0.9 674,793 16.7 236,445 5.9
1985 384,686 9.4 38,187 0.9 655,489 16.1 240,418 5.9
1986 390,229 9.5 39,132 0.9 636,019 15.4 239,256 5.8
1987 390,276 9.4 42,268 1.0 623,831 15.0 243,504 5.9
1988 410,129 9.8 42,757 1.0 633,092 15.1 235,779 5.6
1989 410,708 9.7 44,017 1.0 639,431 15.1 236,818 5.6
1990 399,312 9.3 45,694 1.1 649,738 15.2 241,616 5.6
1991 416,872 9.6 49,205 1.1 709,275 16.4 242,270 5.6
1992 419,774 9.6 53,539 1.2 730,678 16.7 236,162 5.4
1993 402,593 9.0 59,313 1.3 715,826 16.0 234,257 5.2
1994 393,121 8.7 65,015 1.4 721,185 16.0 242,439 5.4
1995 398,484 8.7 68,279 1.5 715,020 15.7 242,838 5.3
1996 434,911 9.4 79,895 1.7 691,226 15.0 241,149 5.2
1997 388,960 8.4 91,160 2.0 675,394 14.5 244,693 5.3
1998 373,500 8.0 116,294 2.5 641,594 13.7 245,825 5.2
1999 360,407 7.6 117,449 2.5 620,668 13.2 247,734 5.3
2000 332,090 7.0 119,455 2.5 640,089 13.5 248,740 5.2
2001 318,407 6.7 134,608 2.8 559,934 11.7 243,813 5.1
2002 304,877 6.3 144,910 3.0 496,911 10.3 247,524 5.1
2003 302,503 6.3 166,617 3.4 495,036 10.2 246,463 5.1
2004 308,598 6.4 138,932 2.9 476,958 9.8 246,220 5.1
2005 314,304 6.5 128,035 2.6 438,707 9.0 245,874 5.1
2006 330,634 6.8 124,524 2.5 451,759 9.2 244,162 5.0
2007 343,559 7.0 124,072 2.5 496,822 10.1 246,482 5.0
2008 327,715 6.6 116,535 2.4 465,892 9.4 246,113 5.0
2009 309,759 6.2 123,999 2.5 444,849 9.0 246,942 5.0
2010 326,104 6.5 116,858 2.3 470,171 9.4 255,405 5.1
2011 329,087 6.6 114,284 2.3 471,265 9.4 257,396 5.1
2012 327,073 6.5 114,316 2.3 484,550 9.6 267,221 5.3
2013 322,807 6.4 115,292 2.3 436,455 8.6 266,257 5.3
2014 305,507 6.0 115,510 2.3 435,435 8.6 267,692 5.3
2015 302,828 5.9 109,153 2.1 438,420 8.6 275,895 5.4
2016 281,635 5.5 107,328 2.1 406,243 7.9 280,827 5.5
2017 264,455 5.2 106,032 2.1 357,771 7.0 285,534 5.6
2018 257,622 5.0 108,684 2.1 326,822 6.4 298,820 5.8
2019 239,159 4.7 110,831 2.2 302,676 5.9 295,110 5.7
2020 213,502 4.2 106,500 2.1 272,337 5.3 304,948 5.9
2021 192,507 3.8 101,673 2.0 260,562 5.1 317,680 6.2
2022 191,690 3.7 93,232 1.8 249,186 4.9 372,939 7.3
2023P 193,657 3.8 92,394 1.8 230,000 4.5 352,700 6.9

데이터: 통계청 
주: 1) 2023년은 잠정치(P = Preliminary)
     2) 위 ‘천명당’은 인구 1천 명당을 의미
     3) 데이터 정리 과정에 Human error가 포함됐을 수 있음

 

 

English Version>>

 

Graphics and Data News: Recently, the number of marriages has declined and then remained flat, the number of divorces is gradually decreasing, the number of births is rapidly falling, and the number of deaths is on the rise.

 

(Graphic·Data News) The ‘number of marriages’, which had been falling steeply since 2011, has been trending sideways for the past two years, and the ‘number of divorces’ has been continuing a gradual decline since 2004.

According to the ‘2023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on the 19th, the number of marriages in 2023 was provisionally calculated to be 193,657, an increase of 1,967 compared to 2022 (see Table 1 below).

Looking at this alone, it looks like the number of marriages will rebound in the future.

However, this is a decrease of exactly 45,502 cases compared to 239,159 cases in 2019, five years ago.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number of marriages has maintained a rather steep decline since its peak of 434,911 in 1996 (see Table 4 and Graph 2 below).

Therefore, unless an exogenous variable appears that can shake up this tre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exceed the 200,000 level in the future.

 

Also, the ‘crude marriage rate (CMR)’, which converts the number of marriages into ‘per thousand population’, showed a similar trend.

Specifically, last year’s ‘crude marriage rate’ increased by 0.1 cases compared to 2022, but decreased by 0.9 cases compared to 2019, five years ago (see Table 1).

 

Table 1. Trends in marriage and crude marriage rates over the past five years (unit: cases)

Cls. 2019 2020 2021 2022 2023P    
YOY vs. 2019
no. of marriage 239,159 213,502 192,507 191,690 193,657 +1,967 -45,502
CMR 4.7 4.2 3.8 3.7 3.8 +0.1 -0.9

Data: Statistics Korea
Note: 1) 2023P = Preliminary figures
2) Human error may have been included in the data entry process.

 

What is unique about these marriage statistics is that the number of marriage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is rapidly recovering to the pre-COVID-19 situation.

In particular, the share of ‘number of marriages with foreigners’ among the ‘total number of marriages’ last year was 10.2%.

This is the highest since 2011.

 

Graph 1. Number and share of marriages with foreigners (unit: cases, %)

Data: Statistics Korea
Note: 1) 2023P = Preliminary figures
2) Human error may have been included in the data entry process.

 

Last year, the number of marriages between Korean men and women with foreigners was 14,710 and 5,007, respectively.

This is an increase of 2703 cases (+22.5%) and 348 cases (+7.5%),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able 2. Trends in “number of marriages with foreigners” by Korean men and women (unit: number of marriages, %)

Cls. 2019 2020 2021 2022 2023P    
YOY vs. 2019
No. of marriages w/ foreigners(a) 23,643 15,341 13,102 16,666 19,717 +3,051 -3,926
 Korean Man+
 Foreign Woman(b)
17,687 11,100 8,985 12,007 14,710 +2,703
(+22.5%)
-2,977
 b/a%  74.8% 72.4% 68.6% 72.0% 74.6% +2.6%p -0.2%p
 Korean Woman+
 Foreign Man(c)
5,956 4,241 4,117 4,659 5,007 +348
(+7.5%)
-949
  c/a% 25.2% 27.6% 31.4% 28.0% 25.4% -2.6%p +0.2%p

Data: Statistics Korea
Note: 1) 2023P = Preliminary figures
2) Human error may have been included in the data entry process.

 

Meanwhile, the number of divorces last year was provisionally calculated to be 92,394, a decrease of 838 cases compared to 2022.

This is a decrease of 18,437 cases compared to 110,831 cases in 2019, five years ago.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number of divorces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its peak of 166,617 in 2003 (see Table 4 and Graph 2).

And the ‘crude divorce rate (CDR)’, which is converted to ‘per thousand population’, shows a similar trend.

Specifically, last year’s ‘crude divorce rate’ was 1.8, similar to 2022, but decreased by 0.4 compared to 2019.

 

Table 3. Trends in number of divorces and crude divorce rate over the past five years (unit: cases)

Cls. 2019 2020 2021 2022 2023P    
YOY vs. 2019
No. of Divorce 110,831 106,500 101,673 93,232 92,394 -838 -18,437
CDR 2.2 2.1 2.0 1.8 1.8 0.0 -0.4

Data: Statistics Korea
Note: 1) 2023P = Preliminary figures
2) Human error may have been included in the data entry process.

 

Below, we attach a graph that adds ‘number of births’ and ‘number of deaths’ to the ‘number of marriages’ and ‘number of divorces.’

For reference, in 2017, the number of deaths exceeded the number of marriages, and in 2020, the number of deaths exceeded the number of births.

Our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is declining at a much faster rate than we thought.

 

Graph 2. Trends in the number of marriages, divorces, births, and deaths from 1970 to 2023 (unit: people, cases)

Data: Statistics Korea
Note: 1) 2023P = Preliminary figures
2) It is estimated that the death rate, which surged in 2022, has returned to the normal track (trend) in 2023.
3) Human error may have been included in the data entry process.

 

Graph 3. Trends in crude marriage rate, crude divorce rate, crude birth rate, and crude death rate from 1970 to 2023P (unit: people, cases)

Footnotes and sources are the same as above.

 

Table 4. Trends in marriage #/crude marriage rate, divorce #/crude divorce rate, birth #/crude birth rate, and death #/crude mortality rate from 1970 to 2023 (unit: cases, people)

Data: Statistics Korea
Note: 1) 2023P = Preliminary figures
2) ‘Per 1,000 people’ above means per 1,000 population.
3) Human error may have been included in the data entry process.

 

spot_imgspot_img

Popular

Share post:

Subscribe

More like this
Related

트럼프 美 제47대 대통령 선거 승리, 주류 언론의 예측처럼 박빙은 아니었다.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번...

그데 뉴스: IMF 올해 마지막 경제 전망, 내년 우린 2.2%(직전 전망比 0.17%p↓), 세곈 3.2%(0.01%p↑) 성장

(그래픽·데이터 뉴스) 국제통화기금이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을, 지난 4월...

그데뉴스: 통계로 살펴본 고령자 교통사고

(그래픽·데이터 뉴스) 최근 몇 년간 고령자(65세 이상) 교통사고가 크게...

President Yoon may Exercise Veto over Two Special Prosecutor Bills and the Local Currency Bill

President Yoon hinted that he may Exercise his Veto...

여객선社, 전기차 충전율 50% 넘으면 선적 제한? 이게 최선인가?

충전율이 50%가 넘는 전기차는 여객선 선적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국내...

최근 2년간 음주운전 적발 13만 건, 코로나19 前인 2019年 수준으로 복귀, 처벌이 약해서?

코로나19로 감소했던 음주운전 적발 건수, 최근 2년간 코로나19 발생...

심하면 음주운전만큼 위험하다는 선팅, 그러나 국민 안전을 완전 자율에 맡긴 정부와 국회

심하면 음주운전만큼 위험하다는 자동차 선팅, 관련 법령(도로교통법, 자동차관리법)들 간 규제...

그데 뉴스: 우리나라 뉴스 신뢰도 1위는 2년 연속 MBC, 꼴지는 4년 연속 조선일보

(그래픽·데이터 뉴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 언론 매체 중 MBC의...